Coding/C C언어 공부 0001 - 728x90 반응형 기존에 운영중이던 깃허브 페이지의 자료를 이전하였습니다. C Study 0001 alstn59v.github.io C언어 프로그램의 기본 형태 #include <stdio.h> int main() { /* * 프로그램 내용 */ return 0; } 기본적인 프로그램 형태는 위와 같다. 이제부터 프로그램 내용 부분에 들어갈 수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주석 변수 상수 함수(호출) 구문 : 주석 C언어의 주석은 두 갖 사용방법이 존재한다. 한 줄 주석 // 주석 여러 줄 주석 /* 주석 주석 주석 */ 변수 자료형과 이름으로 이루어진다. 값을 메모리공간에 저장할 수 있는 일종의 공간같은 것으로, 변수를 이용하여 계산이나 연산결과 저장 등을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추후에 알아보도록 한다. 상수 상수는 한 번 값을 정의하면 계속 그 값이 유지되고, 바꿀 수 없는 수 이다. 즉, 바뀌지 않는 변수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상수의 정의 방법 변수와 똑같은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가장 앞부분에 const라는 예약어가 추가된다. #define 상수이름 값의 형태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가장 외부(헤더파일을 선언하는 부분)에 선언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문 변수와 연산, 함수 호출 등으로 이루어진 문장 자세한 내용은 추후에 알아보도록 한다. 함수(호출) 수학에서 등장하는 함수의 개념과 동일하다. 어떠한 값이 들어가면 결과가 나오는 구조이다. 출력값이 있다면, 변수에 저장할 수 있다. C언어 처음에 등장하는 "Hello World!!!"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에서 printf("Hello World!!!");구문의 printf()도 함수의 하나이다. 자세한 내용은 추후에 알아보도록 한다. Reference https://web.yonsei.ac.kr/hgjung/Lectures/GEN131 728x90 반응형 공유하기 URL 복사카카오톡 공유페이스북 공유엑스 공유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Minsu Jo's Development Log 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Contents C언어프로그램의기본형태 주석 변수 상수 구문 함수(호출) Reference 당신이 좋아할만한 콘텐츠 C언어 공부 0005 2023.02.16 C언어 공부 0004 2023.02.16 C언어 공부 0003 2023.02.16 C언어 공부 0002 2023.02.16 댓글 2 + 이전 댓글 더보기